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양한 혜택들14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신청 바로하기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해 생기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정부가 설정한 상한액을 초과하면 초과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진료를 받은 후 납부한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액이 과다하게 잘못 납부된 경우에 초과액을 다시 돌려주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목차 1.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이란? 2.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신청(대상) 국민건강보험 환급 방법은 2가지입니다 ▶사전환급 - 나에게 청구될 금액을 병원에서 미리 공단에 청구해서 내가 납부할 금액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사후환급 - 이미 상한액을 초과하여 납부했다면 공단이 이를 확인 후에 초과급을 달려주는 것입니다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이란? 가입자가 연간 부담한 건강보험 본인일부담금 총액이 개인별 본인부담 상한액을.. 2023. 9. 13.
월세환급금제도 신청 조건 총정리 월세환금제도란? 자격 요건에 해당이 된다면 1년 간 낸 월세액을 환급하는 제도입니다 월세 수요가 늘어나면서 덩달아 월세 폭이 증가하면서 부담이 되는 만큼 이러한 제도를 이용하여 월세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월세 환급 제도 신청이 불가한 경우 매 달 월세를 성실히 납부했다고 하더라도 모두가 월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불가할 수 있습니다 - 자가 주택이 있으니 월세를 거주하는 경우나 공공주택에 살면서 월세를 납부하지만 세대주가 아닌 경우 해당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wlsdk82ove@naver.com(jin a bae) 2023. 9. 9.
실업급여 조건 알아두기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란? 정부, 고용인, 피고용자가 공동으로 비용을 분단하는 사회 보험 제도의 하나다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이 된 경우 일정 금액을 지급을 받을 수 있으며, 구직 급여, 상병 급여, 취직 촉진 수당, 연장 급여로 구분이 된다 목차 1. 실업급여 조건 2. 실업급여 지급금액 3. 실업급여 지급기간 4. 실업급여 지급절차 1. 실업급여 조건 - 퇴직전 18개월간 180일 이상 피보험자로 근무 ▶ 비자발적 이유로 실직 ▶ 근로의사와 능력을 갖고 적극적으로 재취업 활동 - 퇴직 다음날부터 12개월(수급기간) 경과하면 지급이 안됩니다 - 120일 ~ 270일까지 연령과 고용보험에 따라 지급 ▶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 지급 ▶ 상한액 1일 66,000원 ▶ 하한액 최저 임급액의 80% 정리.. 2023. 8. 3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5인 이상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 만 19세 ~34세 청년을 채용하고, 근무기간을 6개월 이상 유지하게 되면 신규채용한 1인 당 월 80만원씩 12개월 동안 최대 960만원까지 지원 ※직업을 구하고자 하는 청년들 청년들을 뽑으려는 회사들 서로 윈윈하는 제도입니다 - 모두에게 해당이 되는 조건이 아니므로 자신이 자격조건에 해당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자격조건 ▶기업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인 우선지원 대상기업 사업주 지식서비스, 문화콘테느, 신재생에너지 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주력산업, 고용위기지역 소재 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등은 1인 이상도 가능 소비향락업 등 업종, 국가 및 공공기관, 임시 및 일용 인력 공급업, 근로자 파견업, 임금체불, 중.. 2023. 8. 22.
가정 양육수당 신청하기 ▶가정양육수당이란? -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가정 양육 시,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보육 서비스에 대한 선택권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지원대상 - 보육시설(어린이집, 유치원,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있는 0 ~ 7세 아동 지원금액 - 0개월 ~ 11개월 20만원, 12개월 ~ 23개월 15만 원, 24개월 ~ 86개월 미만(취학 전) 10만 원 ▶장애아동 0개월 ~ 35개월 20만 원, 36개월 ~ 86개월 미만(취학 전) 10만 원▶ 농어촌 0개월 ~ 11개월 20만 원, 12개월 ~ 23개월 17만 7천 원, 24개월 ~ 35개월 15만 6천 원, 36개월 ~ 47개월 12만 9천 원, 48개월 ~ 86개월 미만(취학 전) 10만 원 지급시기 - 매월 25일(토/공휴일 경.. 2023. 5. 26.
2023년 출산혜택 총정리 오늘은 2023 출산혜택에 대해 필요한 정보만 쏙쏙 알아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 출산혜택 무엇이 있을까? 현금지원 혜택 ▶부모급여 - 2023년 1월 25일부터 시행되는 정책으로 22년까지 만 1세 이하 부모에게 매달 30만 원씩 지급되던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출산, 양육 등으로 인해 소득 감소를 보존하여 가정에서 약육자와 아이에게 행복한 시간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이 된 정책입니다 1) 누가 받나요? 만 0세 ~ 1세 아동(22. 1월생부터 해당) - 영아수당 지급 대상자부터 적용 2) 얼마나 받나요? 만 0세 아동 월 70만 원 / 만 1세 아동 월 35만 원 - 24년에는 만 0세 월 100만 원, 만 1세 월 50만 원으로 인상 3) 어떻게 받나요? 현금(신청.. 2023. 5. 26.